검색
검색 팝업 닫기

Ex) Article Title, Author, Keywords

Instructions for Authors

Clinical Pain은 대한임상통증학회 및 대한신경근골격초음파학회의 정규 학술지로서 통증의 성상과 발생 기전 및 치료에 관련된 통증 의학 및 근육, 힘줄, 인대, 관절 및 말초 신경에 대한 신경근골격초음파 분야의 임상, 연구 및 교육과 관련된 논문을 기재한다.
본 학회지의 투고 규정은 국제의학학술지 편집인위원회에서 의학학술지 원고 작성에 권장하는 통일양식(Uniform Requirement for Manuscripts submitted to Biomedical Journals, http://www.icmje.org/, 2013년 8월 개정)의 한글 번역본 (http://www.kamje.or.kr/)을 근간으로 작성되었으며 본 투고 규정에 명시되지 않은 사항은 상기 양식의 일반적인 원칙에 따른다. 원고의 채택 여부 및 게재 순서는 학술지 편집위원회에서 결정한다. 편집위원회는 논문을 채택함에 있어서 논문의 윤리성, 정당성, 독창성과 학술적 의의 등을 심사하며 내용의 정정, 보완 및 삭제를 요구할 수 있다.

  • (1) 투고자격과 저자 자격
    투고자의 자격은 본 학회(대한임상통증학회 및 대한신경근골격초음파학회를 이하 본 학회라 지칭함)의 정회원과 준회원과 편집위원회에서 인정하는 사람으로 제한하며, 논문의 저자는 연구에 충분히 참여하고 연구 내용에 책임을 질 수 있는 사람이어야 한다. 저자의 자격은 연구의 기본 개념 설정, 연구의 설계, 자료의 분석과 해석에 공헌하였거나 원고의 작성에 공헌하고, 원고의 내용에 동의할 수 있는 사람으로 제한한다. 논문의 주 저자(책임연구자)는 게재 신청자들의 요구가 없는 경우에는 첫 번째 저자를 주 저자로 인정한다. 교신저자는 심사 진행 중에 제출한 논문에 대한 연락 및 수정을 직접 책임지는 저자를 말하며, 3 인 이상을 희망하는 경우에는 편집위원회의 논의를 거쳐 결정한다. 그리고 그 외의 저자들도 실제 연구에 참여한 경우로만 한정한다. 저자를 변경할 경우에는 변경사유서를 제출하여야 하며, 제1저자나 교신저자를 변경할 경우에는 편집위원회의 승인을, 그 외 저자를 변경할 경우에는 편집위원장의 승인을 얻어야 한다.
  • (2) 원고의 종류
    원고의 종류는 원저, 증례 보고, 편집위원회에서 의뢰한 종설 등으로 한다. 단, 증례 보고는 1) 희귀한 질환, 2) 증상이 기존 것과 다른 경우, 3) 새로운 진단 혹은 치료를 한 경우, 4) 한국인에게서의 특이한 현상 등 4가지 중 한 가지 이상에 해당되는 경우에 한하여 게재할 수 있다.
  • (3) 중복 게재와 이차 게재
    제출된 원고와 동일한 또는 상당 부분 중첩된 원고를 임의로 다른 학술지에 게재할 수 없으며, 원고 전체나 원고의 중요한 부분, 표, 그림 등이 다른 학술지와 기타 정기 간행물에 이미 게재되었거나 게재 예정인 논문은 게재하지 않는다. 단 양측 편집인의 승인이 있을 경우에 ‘생의학 학술지에 투고하는 원고의 통일 양식’에서 규정한 요건에 따라 이차 게재를 허용할 수 있다. 이때 이차 출간한 논문 표지의 하단에 이 논문 전부 혹은 일부가 이미 출간되었음을 알 수 있도록 명시하고 원전을 기술해야 한다. 중복 게재의 경우에는 편집위원회에서 정한 원칙에 따라 학술지에 중복 게재 고지, 게재 취소 및 향후 게재 제한 등의 불이익을 줄 수 있다.
  • (4) 이해 관계
    저자는 연구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어떤 경제적 이해관계에 대하여 편집위원회에 밝혀야 할 책임이 있다. 따라서 원고를 제출할 때에 표지에 이해관계에 관한 공지문을 추가하여야 한다. 저자 본인, 소속기관, 그리고 가족의 해당 연구에 대한 모든 금전적/비금전적 이행상충관계에 대해 기술해야 한다.
  • (5) 윤리 규정
    연구 대상이 사람이나 동물일 경우, 연구윤리 심의위원회(Institutional Review Board, IRB)의 심의를 받아야 한다. 연구 대상이 사람인 논문의 경우 연구 참여 중 정신적, 신체적 위해의 소지가 있다고 판단되면, 헬싱키 선언(Declaration of Helsinki; https://www.wma.net/policies-post/wma-declaration-of-helsinki-ethical-principles-for-medical-research-involving-human-subjects/)에 따라 피험자 또는 보호자에게 연구의 목적과 연구 참여 중 일어날 수 있는 정신적, 신체적 위해를 충분히 설명한 후 피험자 또는 보호자로부터 서면 동의서를 받았음을 원고에 명시해야 한다. 환자와 관련된 사진을 제출할 때에는 환자의 신원을 알 수 없도록 해야 하며 조금이라도 신원이 노출될 가능성이 있는 경우에는 이에 대한 서면 동의를 받았음을 명시해야 한다. 연구의 대상이 동물인 경우 실험동물의 고통과 불편을 줄이기 위하여 행한 처치를 제시해야 하며, 실험 과정이 연구기관의 임상시험 윤리위원회 규정이나 ‘NIH Guide for the Care and Use of Laboratory Animals’에 저촉되지 않았음을 명시해야 한다. 모든 연구는 해당 병원 윤리위원회의 윤리규정을 준수하여야 하며 편집위원회에서는 필요 시 환자동의서 및 윤리위원회 승인서의 제출을 요구할 수 있다. 윤리 규정 및 표절/중복게재/연구부정행위 등 모든 연구윤리와 연계되는 사항에 대한 심사 및 처리 절차는 대한의학학술지편집인협의회에서 제정한 ‘의학논문 출판윤리 가이드라인’을 따른다.
  • (6) 저작권(copyright) 및 라이선스(license)
    대한임상통증학회 혹은 대한신경근골격초음파학회는 논문의 내용에 따라 Clinical Pain에 게재된 논문에 대한 모든 저작권을 보유하며, 해당 내용을 다른 매체에 출판, 복제, 배포, 인쇄할 수 있는 권리를 갖는다. 논문의 저작권을 대한임상통증학회, 대한신경근골격초음파학회 중 어느 학회가 갖는 지는 편집위원장이 결정한다. 승인된 논문의 저자는 저작권 양도 양식을 작성해야 한다. 이전에 출판된 모든 자료에는 허가서가 필요하다. 복제되는 모든 자료에 대해 출판사에 허가를 요청하는 것은 저자의 책임이다. 이 요구 사항은 본문, 그림, 표에 적용된다. 이는 http://creativecommons.org/에서 제공되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저작자표시-비영리) 라이선스와 동일하다.
  • (7) 학회지 발간과 원고 접수
    학회지의 발간은 연 2회 6, 12월 말일에 한다.
    원고의 접수는 수시로 하며(온라인논문투고시스템에서 온라인 접수), 접수된 원고는 논문 체제검사를 거친 후에 원고의 접수일이 부여되고, 원고의 게재 승인일은 심사가 완료된 날짜로 한다.
  • (8) 원고의 제출
    원고를 처음 제출할 때는 접수용으로 논문 게재 신청서, 표지, 원고 본문, 그림 및 사진, 저자 점검표와 저작권 이양 동의서를 제출한다. 표지, 원고 본문, 그림 및 사진, 저자 점검표는 온라인논문투고시스템에서 규정한 파일형태로 제출한다. 논문 게재 신청서는 온라인시스템에서 출력할 수 있으며, 저작권 이양 동의서는 학회에서 규정한 양식으로 온라인 접수 시 첨부한다. 또한 이 동의서에는 논문의 제목, 날짜, 모든 저자(들)의 이름, 소속기관 명 및 주소, 전화번호와 모든 저자들의 친필 서명을 기록해야 하며, 교신 저자명과 교신 저자의 이메일 주소를 기록해야 한다. 사진이나 그림은 300 dpi 이상의 해상도로 jpg 또는 tiff 파일 형태로 제출한다. 사진이나 그림이 인쇄에 적합하지 않을 경우 저자에게 재요청할 수 있다. 인쇄소에서 제작된 교정쇄는 저자에 의해 교정되어야 하고, 최종 교정을 의뢰 받은 저자는 일주일 내로 교정본을 제출해야 하며, 최종적으로 편집위원회 위원장이 확인한 후 출판한다.
  • (9) 원고의 심사와 수정
    접수된 모든 원고는 Clinical Pain 편집위원회의 논문 심사규정에 따라 해당 전문분야 2인이 심사한 후 편집위원회의 평가에 의해 1) 게재 승인 2) 보완 후 게재 3) 보완 후 재심, 4) 게재 불가로 결정한다. 보완 후 게재 혹은 재심으로 판정 받은 경우 교신저자는 교정내역서, 수정된 원고, 사진이나 그림파일을 제출마감일 내에 제출한다. 심사위원의 지적 사항에 대한 자세한 수정내용을 "교정내역서"에 제출하고, 새 원고에는 수정된 부분을 하이라이트하여 제출한다. 편집위원회에서 필요하다고 판단될 때 원문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편집 방침에 따라 원고의 자구와 체제를 고칠 수 있다. 영어 논문의 경우 심사위원이나 편집위원이 판단하여 내용 외의 영문을 신뢰할 수 있는 수준으로 교정할 것을 요구할 수 있으며 저자는 이에 응하여야 한다. 심사가 완료된 논문은 편집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게재 여부를 결정하며, 본 규정에 맞지 않는 원고는 개정을 권유하거나 게재를 보류할 수 있다. 심사 결과 통보 후 특별한 이유 없이 2개월 이내에 원고를 제출하지 않는 경우에는 게재 포기로 간주한다. 채택된 원고는 편집위원장이 원고의 종류, 게재 승인일 등을 고려하여 게재 순서를 결정한다.
  • (10) 심사, 게재, 및 인쇄 비용
    원저 및 증례 보고에 있어서는 도안료 및 제판비와 영문 교정료, 그밖의 특수 인쇄를 필요로 할 때에는 그 실비를 저자가 부담하여야 한다.
  • (1) 원고의 형태
    원고는 맞춤법과 띄어쓰기를 정확히 하여 Microsoft Office Word (2010 이후 버전)를 이용하여 작성한다. 용지 크기는 A4로 하며 사방 2.5 cm 이상의 여백을 둔다. 글자 크기는 12로 하고 줄 간격은 2줄로 설정한다. 각 장의 맨 아래 부분 중앙에 쪽번호를 표시하며 각 줄 앞에 줄번호를 달되 쪽수가 바뀌더라도 이에 무관하게 이어서 매긴다. 원고의 매수는 원저의 경우는 20매, 증례 보고의 경우는 10매 이내로 한다(본문에만 해당, 참고문헌, 표, 그림은 제외).
  • (2) 사용 언어 및 단위
    한글 또는 영문으로 작성하고 의학 용어의 번역은 대한의사협회에서 발간한 최신판 의학용어집에 따른다. 한글 원고의 경우 꼭 필요한 경우에 한자를 병용할 수 있으며 적절한 번역어가 없는 의학 용어, 고유 명사, 약품명, 단위 등은 원어를 그대로 사용한다. 부득이 외국어로 사용할 때에는 대소문자의 구별을 정확히 해야 하는데, 고유 명사, 지명, 인명은 첫 글자를 대문자로 하고 그 외에는 소문자로 기술함을 원칙으로 한다. 번역어가 있으나 의미 전달이 명확하지 않은 경우에는 그 용어를 처음 기술할 때에 번역어 다음 소괄호 속에 원어로 표기하고 그 이후로는 번역어만 사용한다. 공인되지 않은 약자를 사용할 때에는 본문에서 처음 나오는 부분에서 전체를 기록하고 괄호 속에 약자를 표시한 이후에 사용한다. 숫자는 아라비아 숫자를 사용한다. 도량형은 미터법 단위를 사용하고, 혈액학적 수치와 임상검사 상의 검사치는 통상적인 단위나 국제표준단위(SI: International System of Units)를 사용한다. 온도는 섭씨 단위를, 혈압은 mmHg를 사용한다.
  • (3) 영문의 약어
    영문의 약어 사용은 최소화한다. 원고 내에서 2회 이상 쓰일 때 약어를 사용할 수 있다. 약어를 사용할 경우는 본문 내 최초 단어에서 원어와 그 약어를 기술한다. 다음 예와 같이 사용한다. (예 “- 시각 통증 척도(visual analogue scale, VAS)가 -”로 기술하고, “visual analogue scale” 대신 “VAS”를 이후 반복하여 사용할 수 있으나, 널리 알려진 한글 용어가 있는 경우 영문 약자의 사용은 최소화한다.
  • (4) 띄어쓰기
    표준 띄어쓰기를 준용한다(http://www.hangeul.or.kr 참조). 한글 및 영문에서 산술 부호인 ±, =, +, − (minus), × 등의 앞뒤는 한 칸씩 띄어 쓰고(예 25.3 ± 1.2). 음수 표시가 아닌 글자 간의 “-” (hyphen)은 두 단어 사이를 띄지 않는다(예 post-stroke). 영어문장에서 “,”, “,” “.” 및 “:” 표시 뒤에는 한 칸씩 띄어 쓴다. 한글에서는 괄호 앞을 띄어 쓰지 않고, 영문에서는 괄호의 앞을 한 칸씩 띄어 쓴다. 괄호 안에 괄호를 넣을 경우 [ ]을 사용한다(예 ([ ])).
  • (5) 원저 원고의 작성 순서 및 요령
    원저 원고는 표지, 내 표지, 초록, 서론, 연구대상 및 방법, 결과, 고찰, 결론, 감사의 글(필요한 경우에), 참고문헌, 표, 그림 설명문, 그림의 순서로 작성한다. 그림 및 사진의 경우 원고의 마지막에 Microsoft Word 파일 내에 삽입하며, 별도의 파일로 온라인 투고 시스템에 추가로 첨부하도록 한다.
    • 표지의 작성
      표지에는 다음의 사항을 기록한다. 원고의 국문 및 영문 제목, 모든 저자의 성명, 소속 기관을 각각 줄을 바꾸어 기재한 후 영문으로 동일한 내용을 위의 순서에 의거하여 기재한다. 영문 성명은 약어를 쓰지 않는다. 저자가 다수이면서 소속이 동일하지 않을 경우에는 연구가 주로 이루어진 기관을 먼저 기록하며, 그 이외의 기관은 해당 저자 이름 및 소속 기관 명에 어깨번호 1,2,3 순서로 표시한다. 표지 하단에는 교신저자(corresponding author)의 우편번호를 포함한 주소, 전화번호, FAX 번호, e-mail 주소를 기록한다. 감사의 글(Acknowledgement)에는 연구에 기여를 한 사람으로 저자에 포함되기에는 부족한 사람에 대한 감사의 글, 학회 발표 여부 등에 대한 내용을 넣을 수 있다. 연구 기여자의 구체적인 역할에 대해 감사를 표현해야 하며(예를 들어, 자료 수집, 재정적 보조, 통계 처리, 실험 분석 등), 저자는 그 사람에게 감사의 글에 이름이 기재된다는 사실을 통보하고 사전에 동의를 받아야 한다. 연구비 수혜사항도 기술하도록 한다.
    • 원고 본문의 작성
      • ① 제목(Title)
        국문제목은 30자 이내로 하고 영문제목은 20단어 이내로 한다. 제목은 논문의 목적을 간결하고 명확하게 표현해야 하며, “-에 관한 연구”, “-에 대한 임상적 고찰” 등의 표현은 사용하지 않는다. 영문제목은 관사, 전치사를 제외한 단어 첫글자를 대문자로 표기한다.
      • ② 초록(Abstract)
        영문으로 작성하며 양식은 Objective, Methods, Results, Conclusion의 4항목으로 나눈 규정(structured)된 형식으로 250단어 이내로 간결하게 작성해야 하며. 각 양식에서는 연결된 문장으로 기술하며, 결과에 번호를 사용하지 않는다. 초록 하단에는 Index Medicus의 주제색인(MeSH: Medical Subject Headings)을 참고하여 5개 이내의 Key Words를 기재해야 한다.
      • ③ 서론(Introduction)
        연구의 목적을 간결, 명료하게 제시하며, 배경에 관한 기술은 목적과 연관이 있는 내용만을 포함한다.
      • ④ 연구대상과 방법(Materials & Methods)
        연구의 대상과 방법을 순서대로 기술하되 다른 사람이 재현할 수 있도록 구체적으로 기록한다. 실험군과 대조군에 대한 채택 기준과 제외 기준을 명확하게 기술한다. 기자재나 시약의 경우 이름과 괄호 안에 제조회사, 도시 및 국가를 표기한다(예: Flow Cytometer (Coulter Electronic Inc., New York, USA)). 원고 심사를 할 때 저자의 소속이 노출될 만한 기관명 등을 기재하지 않는다.
      • ⑤ 결과(Results)
        연구 결과는 간결하게, 논리적으로 전개하여 기술한다. 표와 그림을 사용할 경우 본문에는 중요한 경향과 요점을 기술한다.
      • ⑥ 고찰(Discussion)
        고찰은 역사적, 교과서적인 내용 혹은 연구 목적과 결과와 관계없는 내용은 가능한 줄이고 연구 목적에 합당하고 요약 또는 결론 유도과정에서 필요한 내용을 저자의 결과와 비교 해석하여 기술해야 한다. 새롭고 중요한 관찰을 강조하며 서론과 결과의 내용을 중복하여 기술하지 않는다.
      • ⑦ 결론(Conclusion)
        결론은 단순한 결과의 나열을 지양하고 연구를 통하여 도출된 새로운 내용을 연구의 목적과 연관시켜 간결하게 언급한다.
      • ⑧ 참고문헌(References)
        참고문헌은 본문에 인용된 순서대로 기재하고 본문에는 그 번호를 어깨번호로 표시한다. 동시에 여러 개의 번호가 들어갈 경우에는 번호와 번호 사이를 ‘,’ 로 분리한다. 여러 개의 연속된 번호를 사용할 경우에는 첫 번호와 마지막 번호 사이를 ‘-’표로 약할 수 있다(표기의 예 : 1, 2-4, 5,7,9). 참고문헌 표기의 위치는 저자의 이름이 있는 경우에는 이름 뒤로하며, 저자의 이름이 없는 경우에는 관련 내용의 마지막 단어 뒤로한다. 저자는 6명까지만 기록하고 7명 이상인 경우는 6명까지 표기 후 'et al.'로 표시한다. 외국인의 경우 성을 적은 후 이름은 약자로 표기하며 한국인의 경우도 영문으로 성을 적은 후 이름은 약자로 표기한다. 영문 잡지의 이름은 Index Medicus에서 사용하는 약어를 표기함을 기준으로 한다. 초록은 참고문헌으로 쓸 수 없으나 피치 못할 사정으로 인용하는 경우에는 초록만 인용했음을 밝혀야 한다. 채택된 논문이지만 출판되지는 않은 논문을 참고문헌으로 인용할 때에는 “인쇄 중(in-press)” 또는 “근간(forthcoming)”이라고 명기한다. 투고하였으나 채택 여부가 아직 결정되지 않은 원고에 있는 정보를 인용하는 경우에는 본문에 “미발간 결과(unpublished observation)”이라고 명기하고 저자로부터 허가서를 받아야 한다.
        그 외 참고문헌에 대한 표기방식은 the NLM Style Guide for Authors, Editors, and Publishers(http://www.nlm.nih.gov/citingmedicine)의 규정을 따른다. 참고문헌의 예:
        • 정기학술지: 저자명. 논문제목. 잡지명 발행연도; 권수: 쪽수
          (예: Halpern SD, Ubel PA, Caplan AL. Solid-organ transplantation in HIV-infected patients. N Engl J Med 2002;347:284-7.)
        • 권에 부록이 있는 정기학술지: 저자명. 논문제목. 잡지명 발행연도; 권수 Suppl: 페이지수
          (예: Geraud G, Spierings EL, Keywood C. Tolerability and safety of frovatriptan with short- and long-term use for treatment of migraine and in comparison with sumatriptan. Headache 2002;42 Suppl2: S93-9.)
        • 기관이 저자인 정기학술지: 기관명. 논문제목. 잡지명 발행연도; 권수: 페이지수
          (예: Diabetes Prevention Program Research Group. Hypertension, insulin, and proinsulin in participants with impaired glucose tolerance. Hypertension 2002;40:679-86.)
        • 단행본: 저자명. 도서명, 판수, 발행지: 출판사명, 발행연도, 쪽수
          (예: Frontera WR, Silver JK, Rizzo TD. Essential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2nd ed. Philadelphia: Saunders; 2008. p. 579-82.)
        • 단행본의 장(Chapter) 인용: 저자명. 장명. In: 저자명, editor(s). 도서명, 판수, 발행지: 출판사명, 발행연도, 페이지 수
          (예: Esquenazi A. Upper limb amputee rehabilitation and prosthetic restoration. In: Braddom RL, editor.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2nd ed. Philadelphia: Sauders; 2000. p. 263-78.)
        • 학술대회 회보 인용: 저자명. 논문제목. 학술대회명; 개최연도 및 개최일시; 개최도시, 개최 국가. 발행지: 출판사명, 발행연도
          (예: Harnden P, Joffe JK, Jones WG, editors. Germ cell tumours V. Proceedings of the 5th Germ Cell Tumour Conference; 2001 Sep 13-15; Leeds, UK. New York: Springer; 2002.)
        • 학위논문 인용: 저자명. 논문제목[dissertation]. 발행지: 출판사명, 발행연도
          (예: Borkowski MM. Infant sleep and feeding: a telephone survey of Hispanic Americans [dissertation]. Mount Pleasant (MI): Central Michigan University; 2002.)
        • 국내 문헌의 영문 작성:
          (예: Park BK, Park JH, Lee HC. Effect of bilateral contraction of proximal arm muscle on electromyographic activity in hemiplegic patients. J Korean Acad Rehab Med 2006;30:13-8.
        • 전자 매체 자료 인용
          • 인쇄본으로 출간되기 전에 웹으로 출간된 문헌을 참고한 경우
            인쇄본으로 출간되기 전에 웹으로 출간된 경우, [Epub]이라 표기하고 Digital Object Identifier(DOI)를 함께 기재한다.
            Suzuki S, Kajiyama K, Shibata K, Ino K, Nawa A, Sakakibara K, et al. Is there any association between retroperitoneal lymphadenectomy and survival benefit in ovarian clear cell carcinoma patients? Ann Oncol 2008 Mar 19 [Epub]. DOI:10.1093/annonc/mdn059.
          • 미출간된 문헌을 참고한 경우
            Venturelli M, Schena F, Zanolla L, Bishop D. Injury risk factors in young soccer players detected by a multivariate survival model. J Sci Med Sport 2011 Apr 5 [Epub]. Doi:10.1016/j.jsams.2011.02.013.
          • 웹페이지/홈페이지를 참고한 경우
            American Cancer Society. Cancer Reference Information [Internet]. Atlanta (GA): American Cancer Society; c2010 [cited 2010 Jun 20]. Available from: http://www.cancer.org/docroot/CRI/CRI_0.asp.
            National Cancer Information Center. Cancer incidence [Internet]. Goyang (KR): National Cancer Information Center; c2010 [cited 2010 Jun 20]. Available from: http://www.cancer.go.kr/cms/statics.
      • ⑨ 표(Table)
        표는 영문으로 표기함을 원칙으로 하며 각 페이지당 표를 하나씩 작성한다. 표의 내용은 이해하기 쉽고 독자적 기능을 할 수 있어야 한다. 표의 수는 원칙적으로 5개 이내로 제한한다. 표의 제목은 명료하게 절 또는 구의 형태로 기술하되 표의 제목에서 관사와 전치사 및 접속사를 제외한 단어의 첫 자는 대문자로 표시한다. 표의 제목은 표 윗부분에 쓰고 표의 이해를 도울 수 있는 별도 설명은 표 아랫부분에 기술한다. 표는 본문에 나오는 순서대로 번호를 붙인다(예: Table 1, Table 2 ..). 표에 사용하는 모든 약어는 표에 하단에 풀어서 설명하되 약자, 콜론, 원어의 순으로 기술한다(예: 표 속의 약어 RM → 표의 하단에 RM: Rehabilitation medicine). 별도 설명은 다음의 부호들(*, †, ‡, §, ∥, ¶, **, ††, ‡‡)을 순서대로 사용한다(예: *p<0.05). 표를 작성할 때에 가로줄은 3개만 사용하는데 표의 가장 윗줄은 복선으로 하고 나머지 두 줄은 단선으로 하며 세로줄은 사용하지 않는다. 저작권이 있는 표를 사용할 경우 원저자로부터 허가를 취득해야 한다.
      • ⑩ 그림과 사진(Figures)
        영문으로 표기함을 원칙으로 하며 각각 그림은 독립된 용지를 사용한다. 본문 내용에 나오는 순서대로 Fig. 1., Fig. 2.와 같이 표기한다. 동일 번호에서 2개 이상의 그림을 사용한 경우 아라비아 숫자 이후에 알파벳 글자를 기재하여 표시한다(예: Fig. 1-A, Fig. 1-B). 설명은 그림 아랫부분에 쓰며, 둘째 줄 이하는 첫째 줄의 왼쪽 시작과 맞춘다. 설명은 본문에 의하지 않고도 충분히 이해할 수 있도록 쓰며, 그림 작성에 사용된 부호 및 약자에 대한 설명을 기술하여야 한다. 그림과 사진에는 내용을 쉽게 알 수 있도록 화살표 등을 사용하여 강조할 부분을 표시해야 한다. 조직 표본의 현미경 사진의 경우에는 조직부위, 염색방법 및 비율을 설명문에 반드시 기록한다. 그림과 사진 파일은 300 dpi 이상의 해상도로 jpg 또는 tiff 파일 형태로 제출한다. 그림과 사진은 원고 파일의 마지막에 첨부하도록 하고 원본 파일을 투고 시스템에 추가로 첨부하도록 한다. 저작권이 있는 그림과 사진을 사용할 경우 원저자로부터 허가를 취득해야 한다.
      • ⑪ 동영상(Movies)
        원고 내에 인용 시 Video 1, Video 2 등으로 표기하여, 해당 부분에 대해 동영상 다운로드 링크를 제공한다. 별도의 파일로 투고 시스템에 동영상 파일을 업로드하도록 한다. 50MB 이하의 파일은 투고시스템에 첨부하고, 50MB 초과하는 파일은 편집위원회에 따로 문의하도록 한다.
  • (6) 원저 이외의 원고의 작성 순서 및 요령
    논문 작성의 일반적인 사항과 점검 사항은 원저 원고의 논문 작성 순서 및 요령에 준한다.
    • 종설
      종설은 특정 제목에 초점을 맞춘 고찰로서 편집위원회가 위촉하며 소정의 심사 후 게재한다. 종설의 논문은 영문초록 250단어 이내, Key Words는 5개 이내, 본문의 원고매수 30매 이내, 참고문헌 50개 이내로 한다. 종설의 본문은 서론, 본론, 결론의 형식으로 작성한다.
    • 증례 보고
      증례보고는 희귀한 질환, 증상이 기존 것과 다른 경우, 새로운 진단이나 치료를 한 경우, 한국인에게서의 특이한 현상을 보고하는 경우와 편집위원회에서 인정하는 경우로 제한한다. 원고 작성 순서는 표지, 내 표지, 초록, 서론, 증례 보고, 고찰, 감사의 글(필요한 경우에), 참고문헌, 표와 그림의 순서로 작성한다. 초록은 150 단어 이내의 영문으로 작성하며 규정된 형식을 취하지 않고 한 문단으로 작성한다. Key Words는 3개 이내로 제한한다. 서론에는 증례와 관련된 일반적 배경과 그 의의를 간략하게 기술한다. 증례의 임상 소견은 증례의 진단과 치료 과정을 간략하게 기재한다. 고찰에는 증례가 강조하고 있는 부분에 초점을 맞추어서 기술하며 질환에 대한 전반적이고 장황한 문헌 고찰은 피한다. 표, 그림 및 동영상의 수는 합하여 5개 이내로, 참고문헌은 20개 이내로 제한한다.

저자들은 편집위원회에서 정한 별도의 점검표를 작성하여 첨부하도록 한다.

논문 게재 신청서 및 저작권에 대한 동의서는 “Clinical Pain에 원고를 투고하면서, 본 논문은 과거에 출판된 적이 없고 타 학술지에 제출되었거나 제출할 계획이 없으며, 저자들은 본 학회가 해당 논문을 심사하고 편집한다는 점도 잘 알고 있으며 본 논문이 Clinical Pain에 게재 출판되면 논문의 소유권을 본 학회에 양도할 것임을 서약합니다.”의 내용이 기록되어 있는 규정된 양식을 사용하여야 한다. 또한 이 동의서에는 논문의 제목, 날짜, 모든 저자(들)의 이름, 소속기관명 및 주소, 전화번호와 모든 저자들의 친필 서명을 기록해야 하며, 교신 저자명과 교신 저자의 이메일 주소를 기록해야 한다. 완성된 논문게재요청서 및 저작권에 대한 동의서는 서명 후 스캔하여 첨부한다.

Korean Association of Pain Medicine

Vol.23 No.2
December 2024

eISSN: 2765-5156

Frequency: Semi Annual

Current Issue   |   Archives

Most Read

Most Keyword ?

What is Most Keyword?

  • It is most registrated keyword in articles at this journal during for 2 years.

Editorial Office